전체 글
![[CentOS] 리눅스 파일출력 cat 명령어](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bqo3gZ%2FbtrA7GyWuXu%2FAAAAAAAAAAAAAAAAAAAAAFqP-PuUa2YPFpoJ1UZrhhsM8HfNW-vELcD9iriX347b%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66523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PEOzrhUXC8FopImrgnGsngQijOw%253D)
[CentOS] 리눅스 파일출력 cat 명령어
cat 명령어는 concatenate를 뜻합니다. 즉 파일을 하나로 합치는 주된 기능을 합니다. cat명령어는 크게 2가지 기능을 합니다. 파일의 출력 파일 합치기 바로 사용법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음과 같은 파일이 존재한다고 가정을 해보겠습니다. test1.file Hello Hello Hello test2.file World World World cat filename cat명령어 뒤에 파일 이름을 명시해 파일 안의 내용을 출력합니다. jjh@jjh-desktop:~$ cat test1 Hello Hello Hello jjh@jjh-desktop:~$ 파일 이름을 여러 개 명시하면 파일의 내용을 합쳐 출력합니다. jjh@jjh-desktop:~$ cat test1 test2 Hello Hello H..
![[CentOS] 리눅스 서비스 명령어 systemct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s5Sys%2FbtrBbMktRZu%2FAAAAAAAAAAAAAAAAAAAAAC2ohdZVQJQU8UMHnmxwU2dp9dvhQXbySn6FFBMjnBMj%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66523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p6d1Pm1ZbmOLE3a3t3rf9x0EbEU%253D)
[CentOS] 리눅스 서비스 명령어 systemctl
리눅스 서버에서 실행 중이거나 특정 서비스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 입니다. 서비스 상태 확인 $ systemctl status service_name.service 서비스 시작 $ systemctl start service_name.service 서비스 재시작 $ systemctl restart service_name.service 서비스 중지 $ systemctl stop service_name.service 서버 부팅 시 서비스 자동 시작 $ systemctl enable service_name.service 서버 부팅 시 서비스 자동 시작 해제 $ systemctl disable service_name.service 서비스 실행 중인 목록 보기 $ systemctl list-units --..
![[SQLD/SQLP] SELECT 절](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Wk2h2%2FbtrA69PsPko%2FAAAAAAAAAAAAAAAAAAAAAMOhqtOFJ7nyst_89S02OlcAe28jvWNCdQoGwoucYfTF%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66523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edyOi%252BWHQF6F0qnGbZyxoy5zoho%253D)
[SQLD/SQLP] SELECT 절
데이터베이스에서 행을 검색하고 SQL Server에서 하나 이상의 테이블에서 하나 이상의 행 또는 열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SELECT 문의 전체 구문은 복잡하지만 절은 아래와 같이 요약할 수 있다. ● SELECT ::= [ TOP ( top_expression ) ] [ ALL | DISTINCT ] { * | column_name | expression } [ ,...n ] [ FROM { table_source } [ ,...n ] ] [ WHERE ] [ GROUP BY ] [ HAVING ] [ ORDER BY ] [ OPTION ( [ ,...n ] ) ] 위의 구문은 SQL Server Docs에 명시된 내용이다. ● SELECT 문의 논리적 처리 순서 SELECT 문의 논리적 처리 ..
![[SQLD/SQLP] SQL 이란?](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nsHy8%2FbtrtXw4ckRs%2FAAAAAAAAAAAAAAAAAAAAAFTZkIFL8W-z3mu6AvhMlT0jNBc_66ucP7pN-6SZKeT7%2Fimg.jp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66523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Rvkf2TiYjx3MRHFF4To%252F3L%252Fs8YU%253D)
[SQLD/SQLP] SQL 이란?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 정의, 데이터 조작,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하는 언어다. 사용자들은 데이터들을 집합에서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꺼내서 조회하고 새로운 데잍터를 입력, 수정, 삭제하는 행위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와 대화하게 된다. 그리고 SQL은 이러한 대화를 가능하도록 매개 역할을 한다. 결과적으로 SQL문장을 배우는 것이 곧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배우는 기본 단계라 할 수 있다. SQL 문장의 종류 명령어의 종류 명령어 설명 데이터 조작어 (DML, Data Manipulation Language) SELECT 데이터베이스에 들어 있는 데이터를 조회하거나 검색하기 위한 명렁어로 RETRIEVE라고도 한다. INSERT UPDATE ..
![[MSSQL] 데이터베이스 파일그룹 정리](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ZaIV8%2FbtrtDE9Dvr6%2FAAAAAAAAAAAAAAAAAAAAAJO1OZ3qE0eEghdGnlUhEWAtIM-v0kHj8bw2G2XwBduw%2Fimg.gif%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66523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ORVUkFi5%252BQym5pltDnsYziKrkjM%253D)
[MSSQL] 데이터베이스 파일그룹 정리
SQL Server 데이터베이스에는 2가지의 데이터 파일과 로그 파일 총 3가지의 파일로 데이터베이스를 운영합니다. 데이터 파일 : 테이블, 인덱스, 저장 프로시저 및 뷰 등의 개체와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로그 파일 : 데이터베이스의 모든 트랜잭션을 복구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저장합니다. 로그 파일은 트랜잭션 로그 파일이라고 흔히 부릅니다. 데이터 파일은 할당 및 관리를 간편하게 수행하기 위해 파일 그룹으로 그룹화하여 관리 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베이스 파일 파일 설명 Primary File (.mdf) 데이터베이스의 시작 정보를 포함하며 데이터베이스의 나머지 파일을 관리합니다. 모든 데이터베이스에는 Primary File이 있습니다. 데이터 파일 확장명은 .mdf입니다. Secondary File ..
![[Java] InvalidKeyException AES 256 암호화 에러](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BOP5Z%2FbtrBakCyle5%2FAAAAAAAAAAAAAAAAAAAAAEWti5XyLbzL3iSqv749hERskvZV8K3lXmpQ4fSZb2nT%2Fimg.jp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66523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tMzsOR0WGVCzPLbzjkYeslL%252BoyA%253D)
[Java] InvalidKeyException AES 256 암호화 에러
● Java 암호화 키 길이 정책 Java에서 AES 256 암호화 복호화 방식을 구현하다 보면 java.security.InvalidKeyException: Illegal key size예외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Java에서는 기본적으로 128bit (16byte)로 키 길이를 제한해뒀고, 기본 키 길이를 초과하는 경우 예외가 발생한다. 컴퓨터 세팅을 하면서 Java JDK 설치 후 환경설정을 하는데 JDK안에 해당 버전의 Java 정책이 포함되어있다. Java는 기본적으로 JCE (Java Cryptography Extension) 암호화 정책을 제공한다. /jre/lib/security/local_policy.jar안에 default_local.policy 파일 안에서 확인할 수 있다. gran..
![[Linux] UTC, KST 타임존 설정](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xLqJ3%2FbtrBbLMDEz4%2FAAAAAAAAAAAAAAAAAAAAACbgRlQEiqZRi-75Sblzw9gry35m7PSlmAgBpBEMi0YY%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66523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cOwhI28%252BF9MnjuPw1pB8dHCsq2c%253D)
[Linux] UTC, KST 타임존 설정
리눅스 서버의 시간을 아무리 동기화해도 한국표준시각과 안맞는 것이다....... 계속 살펴본 결과 이상하게도 9시간 차이가 나는 것이다...????!!!!! UTC!!!, KTS!!!... ● UTC, KST란? UTC : Universal Time Coordinated의 약자, 세계협정시를 의미한다. 전세계적으로 기준이 되는 시각이다. KST : Korean Standard Time의 약자, 한국표준시각을 의미한다. 즉, 한국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시각을 의미한다. 리눅스 서버의 시간을 동기화 했음에도 9시간 느리다면 UTC로 설정되어있는 것이다. ● 타임존 변경 리눅스 시스템에서는 UTC, KST뿐만 아니라 국가별 기준으로 시각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리눅스 "date"명령어 즉 ..
![[Linux] 리눅스 서버 시간 동기화 하기.](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emnsL6%2FbtrBax2EMv7%2FAAAAAAAAAAAAAAAAAAAAAEClQyC1UkcjOwqnAvSnUxzU5jjMunozPeeUX4OlZxwP%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66523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3QKnfjRjAGG0g0R9bZbPaQ1Ptdo%253D)
[Linux] 리눅스 서버 시간 동기화 하기.
리눅스 서버 시간이 안 맞는 경우 시간 동기화하는 방법에는 2가지 방법이 있다. 1. 오프라인 모드로 직접 시간을 동기화 시켜주는 방법. 2. 네트워크로 시간서버에서 시간을 받아와 동기화시켜주는 방법. ● 오프라인 변경 date -s "03 Feb 2022 11:11:12" date -s "202-02-03 11:11:12" 외부 네트워크가 열리지 않은 서버같은 경우 위 date명령어로 직접 수정할 수 있다. ● 타임 서버 활용 rdate 명령어를 활용하여 타임서버에서 시간을 동기화할 수 있다. 먼저 rdate가 설치되어있지 않다면 설치를 먼저 해주어야 한다. yum install rdate .... 설치과정 생략 rdate -s time.bora.net date Thu Feb 3 02:14:13 UTC..